전체 글83 [타입스크립트] 유틸리티 타입 TypeScript는 일반적인 타입 변환을 쉽게 하기 위해서 몇 가지 유틸리티 타입을 제공한다. 이러한 유틸리티는 전역으로 사용 가능하다.1. PartialPartial은 모든 프로퍼티을 선택적으로 만든다. 즉, 기존의 타입에서 모든 프로퍼티들이 없어도 되는 새 타입을 만든다. interface User { name: string; age: number; address: string;}const updateUser = (user: Partial) => { // Partial을 사용하면 name, age, address 중 아무것도 없어도 오류가 나지 않음 console.log(user);}updateUser({ name: "철수" }); // OKupdateUser({}); // OK2. R.. 2024. 9. 26. [면접 질문] function Person(){}, var person = Person(), 그리고 var person = new Person()의 차이점? function Person(name) { this.name = name}var person = Person('John')console.log(person) // undefinedconsole.log(person.name) // Uncaught TypeError: Cannot read property 'name' of undefinedvar person = new Person('John')console.log(person) // Person { name: "John" }console.log(person.name) // "John" function Person(){}: 일반적인 함수 선언var person = Person(): 생성자가 아니라 Person을 함수로 호출, undefined가 반환var p.. 2024. 9. 25. 쓰로틀링(Throttling)과 디바운스(Debouncing)의 차이점 프론트엔드 개발에서는 사용자의 이벤트(스크롤, 입력 등)가 연속적으로 발생할 때, 이를 적절하게 처리하지 않으면 성능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.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`쓰로틀링(Throttling)`과 `디바운스(Debouncing)`가 사용된다. 두 기법 모두 이벤트를 제한하여 성능을 최적화하지만, 동작 방식과 목적은 다르다. 1. 쓰로틀링(Throttling)이란?쓰로틀링은 특정 시간 동안 하나의 이벤트만 실행되도록 제한하는 기법이다. 이벤트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지정한 시간 동안 최대 한 번만 실행된다. 즉, 일정한 간격으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. 사용 사례: - 스크롤 이벤트: 사용자가 페이지를 스크롤할 때마다 이벤트가 계속해서 발생하지만, 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면 성능 저하가 발생할.. 2024. 9. 24. [백준] 24511번: queuestack 파이썬 풀이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4511 큐스택 이 문제는 일단 문제를 이해하는 것 자체가 문제였다.고맙게도 다른 분이 쉽게 그림과 함께 설명해놓은 블로그 글을 보고 이해했다... 문제 설명도현이가 제안한 queuestack은 큐와 스택을 혼합한 자료구조입니다. queuestack은 N개의 자료구조(큐 혹은 스택)가 나열되어 있으며, 각 자료구조에 한 개의 원소가 들어 있다. 이 자료구조의 작동 방식은 간단하다. 새로운 원소를 첫 번째 자료구조에 삽입한 후, 이 자료구조에서 pop하여 나온 값을 두 번째 자료구조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마지막 자료구조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. 마지막 자료구조에서 나온 값을 리턴한다. 수열 C의 원소를 queuestack에 넣은 후, 리턴된 값을 출.. 2024. 9. 23. 이전 1 2 3 4 5 6 7 ··· 21 다음